2013년 풀 프로덕션 3부작 프로젝트 
《경계 위를 달리는: 문화교섭과 사유의 모험을 위하여》



1부서울 (2013. 7. 5 - 9. 1)
2013. 7. 5 - 9. 1
김경호 개인전 <Magic Bullet Broadcasting Network> 
작가와의 대화 : 7. 7 일요일 4시 

2013. 8. 4 - 8. 18
하차연 영상스크리닝<Localization>
작가와의 대화 : 8. 4 일요일 4시

2013. 7.5 - 8. 30 매주 금요일과 일요일 4pm
<ET Lab> _ 다 학제 스피커들과의 14회차 대화
*** ET Lab 참가비 각 회 차 5,000원 현장납부


2013년 풀 프로덕션 3부작 프로젝트 
《경계 위를 달리는: 문화교섭과 사유의 모험을 위하여》
1부 서울

O 참여작가: 김경호, 하차연

O 초대 스피커: 

#01 서경식 / 7월 5일 금요일 4pm 

도쿄게이자대학교 현대법학부 교수, 저술 『후쿠시마 이후의 삶 : 역사철학예술로 3..11 이후를 성찰하다』(공저, 2013), 『디아스포라의 눈』(2012),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2009), 『난민과 국민 사이』(2006)외 다수 저술
 
#02 김경호 & Frank Smith / 7월 7일 일요일 4pm
미술작가 & 저널리스트,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03 서해성 / 7월 12일 금요일 4pm
소설가, 한신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04 권명아 / 7월 14일 일요일 4pm
동아대학교 국어국문과 부교수, 저술 『음란과 혁명 : 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2013),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 한국사회의 정동을 묻다』(2012)
 
#05 김남수 / 7월 19일 금요일 4pm
안무비평가, 아트 콜렉티브 Ob. Scene, 공연예술매거진 PAN 편집위원
 
#06 황세준 / 7월 21일 일요일 4pm
미술작가, 미술비평
 
#07 백원담 / 7월 26일 금요일 4pm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소장, 성공회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
 
#08 김인규 / 7월 28일 일요일 4pm
미술작가,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 미술교사, 저술 『시각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쓴 미술교과서』(2008), 『고등학교 미술교과서』(2011), 『중학교 미술교과서』(2013), 번역 『새로운 장르 공공미 술 : 지형 그리기』(2010), 2000년 충남의 중학교 교사로 재직 당시,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의 누드 작품사진을 올리자 이를 발견한 청소년단체 및 학부모단체들이 전기통신기본법 위반으로 교사를 고소하여 체포, 대전고등법원에서의 1, 2심 최종 무죄판결을 받았으나2005년 대법원이 원심을 파기하고 유죄를 선언함으로써 도덕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표현의 억압을 둘러싼 문화예 술계의 공분을 일으킨 바 있는 이른바 “김인규사건”의 주역
 
#09 홍기빈 / 8월 2일 금요일 4pm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저술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2012), 『자본주의』(2010), 『누구도 대답하지 않았던 나눔에 관한 열 가지 질문』(2011), 『소유는 춤춘다』(2007) 외 다수,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 우리 시대의 정치, 경제적 기원』(2009) 번역
 
#10 하차연 / 8월 4일 일요일 4pm
미술작가
 
#11 강동화 / 8월 9일 금요일 4pm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나쁜 뇌를 써라』 저자, 댄 로이드의 『서늘한 광채 : 뇌과학과 현상학으로 알아본 의식의 해석』(2009) 번역
 
#12 신범순 / 8월 11일 일요일 4pm
서울대힉교 국문학과 교수, 저술 『노래의 상상계 : 수사와 존재생태기호학』(2011), 『이상문학연구 : 불과 홍수의 달』 (2013), 『이상의 무한정원 삼차각 나비』(2007), 『바다의 치맛자락』(2006) 외 다수
 
#13 홍경한 / 8월 16일 금요일 4pm
미술전문월간지 경향 article 편집장, 미술비평
 
#14 김학량 / 8월 23일 금요일 4pm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교수, 전 서울시립미술관, 동아갤러리 큐레이터, 현재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중
 
#15 이영철 / 8월 30일 금요일 4pm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예술감독
 











 

 

 

6/29(토) 늦은 7시, 

 

 동대문 정보화 도서관 지하 2층 시청각실에서 『음란과혁명』(2013) 출간 이후 첫 번째 저자 강연회가 열립니다. 저자가 바라본 한국 근현대 100년사를 한눈에 조명할 수 있는 초대형 장비 또한 마련해 가신다고 하니, 기대하고 가셔도 좋겠습니다.

 

 

 

 

 

 

 
 
한치 앞을 가늠할 수 없는 "인문학의 '미래'"를 앞두고 있는 지금,
'현재'라는 감각을 형성하고 있는 불안과 위협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2000년대 이후 인문학이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와 위기라는 감각에 대한 비평과 더불어 
최근 정동이론의 경향들을 분석한 권명아 선생님의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2013년도 여름 상허학회 정기학술대회


한국문학(연구), 이론과 텍스트의 새 지평
-연구의 생산, 발신, 수신의 구조변동을 지향하며


일시: 2013년 6월 29일(토) 오전 10시~
장소: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 국제회의실(지하 1층)


모시는 말씀



  1990년대 말 이래 인문학 연구에 일었던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은 이제 일단락된 듯 보입니다. 그 동안 한국 근대문학 연구 역시 일국가적인 데서 초국가적인 데로, 문학에서 글쓰기로, 텍스트 중심주의에서 텍스트를 둘러싼 제도와 매체에 대한 검토로, 문학의 자율성에 기반한 논의에서 이론 지형을 매개한 보편 의제화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해 왔습니다. 연구 대상 시기도 확장되었습니다. 


  그런 한편, 패러다임 전환의 생산력 또한 소진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계속되는 양적 축적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문학 연구라는 학술장에서 새로운 의제나 방법론은 충분히 공유되거나 공론화되지 못한 듯합니다. 지난 10여 년 사이 패러다임 전환의 의의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모색하는 재출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광범하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나 집중화되거나 이론화되지 못했던 새로운 경향은 이제 기입되고 비판되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도약의 기반이 되어야 합니다.


  상허학회에서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반세기 넘는 역사를 갖게 된 한국 근대문학 연구가 그 이론적 자립 가능성을 시험해야 할 단계에 왔음을 주장하고자 합니다. 한국 근대문학 연구가 국내․외적 학술장에서 이론과 방법의 수신자로서의 역할을 주로 해 왔다면, 그간 축적된 근대 경험을 바탕으로 발신자 혹은 메신저로서의 역할을 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는 것이 상허학회의 잠정적 판단입니다. 이를 위해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지난 10여 년 간 광범위하게 영향력을 미쳐 왔으나 또렷이 발화되지 못했던 이론적 경향을 정리․선언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를 기화로 하여, 한국 근대문학 연구, 나아가 한국문학 연구 및 한국학 일반이 이론과 텍스트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의제를 열고, 이론적 생산자-발신자-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준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널리 참여해 주시길 기다리겠습니다.



(학회일정)


10:00~10:30 - 접수, 개회사

오전발표
사회자 : 오태영 (동국대)

10:30~11:00 - 제1발표
발표주제 : 반(反) 문학과 비(非) 이론- 한국 근대 문학 연구의 두 흐름에 대한 일고
발표자 : 김준현(성신여대)

11:00~11:30 - 제2발표
발표주제 : 개인/국가 이후의 작가―‘포스트’ 시대의 향방
발표자 : 박헌호(고려대)  

11:30~12:10 - 토론
김동식(인하대), 조강석(인하대)

12:10~13:30 - 점심식사



오후발표
사회자 : 김성연(연세대)

13:30~14:00 - 제3발표
발표주제 : 정동적 전환과 인문학의 ‘미래’
발표자 : 권명아(동아대)  

14:00~14:30 - 제4발표
발표주제 :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2)— 한국문학ㆍ문화연구의 새로운 정치성과 주체성 문제
발표자 : 천정환(성균관대)  

14:30~15:00 - 제5발표
발표주제 : 멜랑콜리의 수행을 넘어서
발표자 : 차승기(성공회대)  

15:00~15:40 - 토론
함돈균(고려대), 김은하(경희대), 강동호(육사)

15:40~16:00 - 휴식시간

16:00~17:20 - 종합토론
사회 : 황호덕
(성균관대)

17:20~18:00 - 총회

 

http://www.sanghur.or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