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등등인

 

 

 

1

수요일, 1000회 수요집회에서, <버자이너 모놀로그>의 배우들이 시위를 하러 모인 군중들을 한번에 숙연하게 만들었다면, 사람들이 하하하 웃으면서 “할머니 파이팅!” 하게 만들었던 할머니 한 분이 있었다. 커다랗고 짙은 색깔의 썬글라스를 쓴 멋쟁이 할머니는, 햇살 기지촌 여성 센터의 할머니였다.(나는 사진을 못찍었는데, 인터넷에서도 찾기가 어렵다.ㅜㅡ) 할머니는 일본 대사관에다가 “왜 사죄를 안하노!”를 외치고 시위 현장에 있던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언니들~ 사랑합니다~!”라고 연대 발언을 마쳤다. 연대 발언을 들으면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할머니가 된 기지촌 여성들과도 교류가 있나 보다라고 생각 하고 넘겼었다.

오늘은 동북아 역사재단에서 <동아시아 미군기지 문제와 여성인권>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이 있었다. 심포 여는 인사를 윤미향 정대협 대표님이 하셨다. 원래 인사말을 기지촌 여성 인권 연대의 대표인 우순덕 선생님이 하시기로 한 듯 한데, 아마 도착을 안해서 대신 하신 듯 하다. 빨간 후드티를 입은 윤미향 대표님은 저 기지촌 여성 센터와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교류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3년 전부터 일본군 위안부와 비슷한 성폭력 경험을 갖고 있는 햇살 기지촌 여성 센터 여성들이 어버이 날을 같이 보내고 있는데, 서로 자매애를 갖고 연대하는 모습이 감동적이라고 일화 하나를 소개 해 주었다.

일본군 위안부였던 길원옥 할머니가 기지촌 여성들에게, ‘부끄러워 하지 말라, 우리가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부끄러운 것이다. 일본 정부든, 한국 정부든 요구를 해라. 우리가 언니니까 도와주겠다.’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 얘기를 들으니까, 어제 그 연대발언 하셨던 할머니가, “우리 언니들한테 사과 해라! 왜 사과를 안하노!!!”했던게 어떤 맥락이었는지 이해가 되었다.

오늘 심포의 발표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1. 기지촌의 역사적 구성 과정과 여성운동 : 이나영(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 미군자료로 보는 미군의 성매매정책과 성폭력 : 하야시 히로후미(칸토학원대학 교수)

3. 한국의 기지촌 여성 인권운동의 역사 : 고명진(파주여성인권센터 Shego 센터장)

4. 군사주의를 용납하지 않는 국제여성 네트워크-젠더 시점의 기지철폐 글러벌 네트워크 : 아키바야시 코즈에(리츠메이칸 대학교)

5. 기지촌 여성 문제는 국가(한국, 미국)의 책임 -소송 제기와 입법 운동의 당위성, 그리고 방향 : 안정애(주한미군범죄근저운동본부 대표)

6. 일본에서의 미군의 성매매 성폭력-이와쿠니 기지를 중심으로 : 후지메 유키(오사카 대학교)

후기는 6개 발표 다 소개할려고 하는데, 몇회에 나누어서 업데이트 할 생각이다. 나는 고명진 선생님 논의와 후지메 유키 선생님 논의가 내가 생각해 보지 못했던 지점에 대해서 말씀하고 계시고, 내 연구에도 어떻게든 그러한 지점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우선, 고명진 선생님 발표.

고명진 선생님은 성매매 근절을 위한 한소리회 25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성매매, 기지촌, 그리고 인권」에 실린 유영님 두래방 원장님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유영님 원장은 기지촌 여성 인권 운동의 역사를 크게 세 시기로 분류하고 있다. 제 1기는 1986년부터 1992년 윤금이 사건 이전까지이고, 제 2기는 1992년 윤금이 사건부터 2004년 성매매특별법 제정 이전 시기까지, 제 3기는 2004년 성매매 특별법 제정 이후의 시기와 기지촌 여성 인권 연대의 결성을 통한 최근의 운동까지이다. 고명진 선생님은 파주 여성 인권 센터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파주 용주골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하였다. 파주의 용주골은 미군부대에 의존한 기지촌으로 먼저 발전한 지역인데, 71년에 동두촌으로 미군 기지가 이전하자, 축소되었다가 1990년대 중반에 한국인 대상의 성매매 집결지로 변화하게 된 곳이라고 한다. 고명진 선생님은 이 미군 기지촌->한국인 성매매 집결지로의 변화하는 용주골의 공간에 주목하고 있다. 즉, 미군 부대에 기대고 있는 기지촌 성매매는 미군 부대가 이동을 하여 기지촌이 없어진다고 해도, <용주골>이라는 공간이 남게 되는데, 이 공간이 없어지지 않는 이상 성매매는 계속 된다는 것이다. 즉, 포커스는 군사시설이 아니라, 성매매가 되어야 하며, 공간에 대한 논의와 사유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은, 얼마 전 송연옥 선생님의 강연에서 들었던 내용을 떠올리게 했는데, 송연옥 선생님은 식민지 시대의 장소는 그 시대만 바뀔 뿐 비슷한 업종이 그 장소에 그대로 있다는 내용이었다. 즉 식민지 시대에 은행이 있었던 장소에는 해방 이후에도 은행이 세워지는 장소가 되고, 식민지 시대에 공창이었던 곳은, 해방 이후에도 매매춘이 집결하는 장소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라면, 고명진 선생님의 말대로, 미군 기지촌이 있던 자리에, 미군이 없어진다고 하더라도, 그곳에 있었던 매매춘은 계속 된다는 말은 설득력이 있으며, 또,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는 실례도 찾기 어렵지 않다.

즉, 남겨진 공간이 또다른 성매매 공간이 된다는 것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고명진 선생님은 그것에 대해서 강조했다. 용산 미군기지 이전이 된다고 해서 이태원이란 장소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또 성매매 공간으로 남게 되는 것은 아닌가라는 우려. 이러한 군사 문화로 인한 성매매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미군기지나 기지촌이 있는 지역의 생활의 문제로 포커스를 넓혀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논의가 고명진 선생님이 주장하는 내용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기지촌에 있었던 사람들은 매매춘 여성들 뿐만이 아니라 기지촌 주변의 시민들도 그러했음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성매매 하지 않는 사람들도 경제적 문제 때문에 그곳을 떠나지 못하는 피해자임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미군 기지촌 운동을 한다는 것은 지역의 정서와 생활을 함께 고려하는 것임을 자각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