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우

 

 

 

 

 

 

 

Side B. (1월12일, 1월19일 세미나에서)

"정동은 사이에 있음(inbetween-ness에서 태어나고, 곁-임beside-ness의 누적, 쌓임으로 살아간다. 따라서 정동은 신체적인 능력의 물매gradient로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조우의 다양한 양태와 리듬 뿐 아니라, 감각과 감성의 골과 체를 통과하여 태어나고 소멸하는 그러한 힘-관계들의 지속적인 조절의 유연한 점진주의.(권명아 선생님 역, <An inventory of shimmers>, forces of encounter 미명의 목록/발명, 부딪침들의 힘들, 부대낌의 힘들)"


본 세미나(발전/정적 해체; 정념과 공동체)가 끝난 뒤, Side B에선 온갖 종류의 말들이 터진다. 본 세미나를 맞춰가기 위해 보조적으로 나머지 공부를 하고 있는 셈인데, 이 곳에선 발정/전적 보조를 위해 서로를 닮아 가기도, 의심하기도, 업고, 업혀가기도 하며 세미나를 지속하고 있다. *가이님은 이 세미나의 성격에 대해서, "서로 뭔가 나누는 것 같진 않지만, 어쨌든 대화를 이어가게 된다."(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데, 서로의 공부 수준을 알고 있기에^^; 깊게 의지하지 않지만, 덧대고 덧대며 이해하게 된다. 라는 말이었던 것 같다.)



 


'정동'이라는 그 뉘앙스조차 가늠하기 힘들었던 것은, 기존의 공부방식, 지식을 습득, 이해하는 태도의 변환(그러니깐 보편적이거나 일반적인 이론도 아니고, 아직 아니고)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두 차례의 본 세미나가 지나고, 여기서도 두 차례에 걸쳐, 진은영의 <<코뮨주의 선언>>과 들뢰즈의 <<비물질 노동과 다중>>을 함께 읽었다. 읽히지 않는 것들에 대해 매혹을 느끼기 때문인지, 기쁜 능동의 정동으로 가능한 코뮨을 도무지 상상, 체감하기 어려웠기 때문인지(어떻게?) 세미나 내내 그의 글에 (반증 아닌)반감만 드러냈다. 2번째 본 세미나와 보조 세미나를 통해서 이러한 반감에 대한 살을 갖게 될 수 있었는데, 슬픔과 기쁨은 신체의 능력을 변용(감소, 증대)시키는 감응 능력으로 우리는 어떻게 코뮨을 구성할 수 있는가?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의 변용-결과에 대한 무지 상태에서, 그것의 원인, "현실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어떻게 "명석판명한 관념"을 가질 수 있는가. 우리를 슬픈 수동적 정서들로 응집케 하는 "공포의 전략에 대한 고발"이 가능한가? 코뮨은 매번 새롭게 구성되는 것임을 재차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작동 방식(입시지옥, 자본주의적 삶의 방식은 늘 이분법적인 선택지, 생체정치 포섭의 예로 촛불집회와 같은)에 대해 우리들은 늘 수동적으로 치이고 있다. 그런데 이 환상의 이분법을 깨는 "발명해야 할 코뮨적 감응"으로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에 나오는 한 소년과 같은 '유머'가 필요하다는 것인데, 진은영이 정념의 낡은 서랍장에서 하나씩 꺼내놓은 것에 유쾌해 질 수 없었다. "누구도 신체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아직은 규정할 수 없다."


 

 

<<비물질 노동과 다중>>을 통해 모두가 "정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들을 많이 내놓았다. "레닌은 누구인가?", "윤리는 무엇인가?", "정서, 정념 는/은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현아님이 독특한 예시(*모스버거 인 도쿄: 일주일간 도쿄에 관광을 간 현아님은 햄버거를 두개 먹고 그 자리에서 구토 한 사건을 일컫습니다.)를 덧대주어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스피노자에게 있어서 '합리적이다'라는 것은 '보편타당'이거나 '도덕'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특별한 윤리성과 '힘 관계'의 문제이다. 수많은 마주침과 정동 속에서 자신과 '공통-통념'을 형성할 수 있는 정서를 판별해내는 것, 그 속에서 자신의 신체의 관계를 조직을 짜나가는 능력-또는 판별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모스 버거를 1개만 먹는 합리성!)"
Q1. 그렇다면 신현아님의 코나투스는 자기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판단을 하지 않았나?
A1. 우리는 다만 '만일 내가 관계들의 집합이라면 아마도 그것은 합리적인 관계들을 말하는 것'이고 여기서의 '합리적인'이라면, '오로지 되기becoming의 결과로서만 그럴 수 있는 것'이다. (p115)

그 렇다면 우리는 매번 생생한 실험 속에서 끊임없이 나와는 맞지 않는 상황들에 몸을 내던진다. 따라서 스피노자는 신체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우리가 합리적이게 되어가는 것은 끊임없이 신체를 사용하여 (능/수동이든)무언가에 직면하여서 관계를 축적하는 것이기에, 결국 어떻게 합리적이게 되는가? 라는 질문은 '신체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상응할 것이다. 이러한 신체의 불완전성은 다시 나의 본질, 본질적 영역은 어디 까지인가?를 묻는 것인데, 이는 일종의 순수한 '순간성[캡쳐(신)]'이다. 내재성 또한 외부 영향인 것이기에 계속 변하며 경계 지을 수 없는 것이다. 들뢰즈는 차이가 있지만 그럼에도 부적실한 관념들도 본질에 속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나는 자연적인 조건 상 외부적인 외연적인 부분들의 무한한 관계에 속해있다. 그 '외부적'인 정서는 '외부'에서 오는 것이지만 효과를 만들며 맞부딪힐 때, 즉 나에게 작용할 때 그것은 나에게 일부 속하는 것이 되어버린다.

(1) "윤리는 힘의 문제이지, 의무의 문제가 아니다."(p52)
들뢰즈는 안/행함 가능성의 결단의 문제라고 말한다. 여기서 '윤리'란 불확정적인 어떤 것으로써, 아직 아닌 것을 선택함의 문제이다.
(2) conatus 자기보존의 유지의 노력이자 판단인데, 이 '자기보존'은 앞서 언급한, 힘 관계에서의 적절한 선택, 원인과 결과가 납득이 되는 선택을 했을 때
(3) "무엇을 할 것인가?" 레닌의 '전위' 개념은, 노동자를 내재적 가능성을 갖고 있는 농민이지만, 전위(앞서서 이끌어주지)하지 않으면 판단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에, 각성된 인텔리들이 사회주의 혁명의 가능성을 열어 준 것을 말한다. 4월 혁명을 미완의 혁명이라 일컫는 것 또한 '전위'되지 않았기 때문!
 

mora

 

 

 

소리 소문 없이 찾아온 2012년 첫주에 일명 근국세미나나 팀이 학교 '밖'으로 나가 공부를 시도했습니다.

근국세미나팀의 새로운 이름을 신콩떡님께서 Side-B라고 재해석 해주셨어요. 그 뜻을 앨범에 비유했는데, 테잎으로 앨범을 듣던 당시 앞면을 A , 뒷면은 B라고 표기가 되었지요. 주로 타이틀곡이 들어있는 앞면의 곡들이 끝나면 '찰칵' 소리와 동시에 뒷면은 또다른 국면들에서 시작되는 '더 많은 노래들'을 만나는 장소가 됩니다. 그런 의미의 연장으로 Side- B는 테잎의 뒷면 처럼 근국세미나팀이 '찰칵'하고 새로운 국면을 맞아 공부와 삶을 만나는 장소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제 근국세미나의 정식 이름이 되었습니다. 현재 Side-B는 역사의 기본적인 흐름들과 개념들을 공부한다는 취지로 근대국가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김준석|책세상 |2011.08.31

이 책은 근대국가를 서구의 발명품으로서 독일의 사회학자 베버가 근대 국가의 질서 유지의 기능으로 삼고 있는 '폭력의 독점'이라는 부분에서 출발합니다. 또한 근대국가의 성격을 전쟁과 주권 자본주의의 키워드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중 전쟁을 통한 영국과 독일 프랑스등 유럽 근대국가의 출현을 좀더 면밀히 살피면서

입헌주의의 승리에 따른 19세기 유럽근대국가의 발전, 그로인한 국가의 역할과 폭력의 감소의 변화에 대해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제3세계들이 서구와 같은 모델로 근대국가를 건설한 예시와 함께 한국의

근대국가 건설에 관한 내용도 빠트리지 않고 있습니다. 근대와 국가라는 거대한 구조를 이 책 한권으로 독파할수는 없을테지만 중요한 관점들은 안내해주는 좋은 거름이 된거 같습니다. 또한 단순히 역사적인 배경과 흐름뿐 아니라 우리 삶이, 나 자신이 그 안에 놓여 있음을, 현실과 맞닿아 있음을 놓쳐서는 안될것입니다.

 

Side-B는 세미나와 함께 학교밖의 공간에서 공부하기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이 취지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공부의 나눔을 목적으로 학교밖을 벗어나, 도시안에서 공부 할수 있는 장소(이때, 공부라 함은 학문적인것만이

아니라 모든 관계속에 드는 비용과도 같은것입니다) , 공간은 있는가? 관계할수 있는 장소의 한계성을 느끼고,

또한 이 관계함은 어떤식으로든 '돈'을 매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생각은 실질적으로 공부를 위해 밖으로 나갔을때 드는 비용들을 체감하면서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찻값과 음식값은 터무니 없이 비싸다고 생각되니깐요^^) '돈' 매개는 공부 뿐아니라, 친구,연애등 모든 관계가 그렇지요. 그래서 일단 단순히 돈을 쓰지 않는것은 불편함과 곧장 만나는 일 입니다. 그 단순한 불편함을 통해서 우리몸은 어떤식으로 반응하며, 그 반응을 공부의 나눔을 통해서 어떻게든 슬기롭게 헤쳐나가보자 함입니다

 

. 12월 첫주 세미나는 부산 시립미술관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시립미술관 실내의 '의자' 라고 하는게 좋겠군요. 전시장 안에는 관람객들이 앉을 수 있는 의지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오랫동안 실내의 의자 배치가 바뀌지 않았던 시립미술관이였기에, 좀 구석이기도 하고, 화장실 앞에 괜찮은 의자가 있었던것을 기억하며, 그곳을 머리속으로 '찌뽕'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의자는 사라지고 거기에 설치 작품이 떡하니 있더군요. 그 순간 이곳이 '미술관'임을 다시 환기 시키게 되었습니다.

 

 

 

부산 시립미술관 설치 작품. 이 사진을 찍은 의도는 원래 이 자리는 오랜시간동안 관람객들이 앉을수 있는 의자가 놓여있던 자리인데, 의자 대신 작품이 설치 되어있는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의자(관람자)와 작품(미술) 사이의 간격은 가까워진걸까요? 더더욱 멀어진걸까요?

 

화이트 큐브로 부터 시작해서 미술관의 위엄을 벗어나고자 창고나 페허를 개조해서 생겨나기 시작한 대안미술공간(전시장)들은 그 의미들이 변질됨에 따라 또다른 의미에서의 화이트 큐브라고 할수 있을것입니다.

각 섹션으로 나누어진 스펙터클한 전시장 안과 / 무수한 이미지와 체험들로 지친 육체와 정신이 잠시 쉬어가는

밖(전시장 밖)의 구조는 대형 멀티플라자나 백화점과도 닮아 있습니다. 그러니 미술관 안에서 공부하는 나의 몸은 대형 자본의 공간들의 쉼터(의자)에서 느꼈던 것과 동일한 몸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밖'(학교, 제도) 은 또다른 '안' 입니다. 좀더 공부하기 편한곳을 찾을수도 있겠지만, 이런 공공의 장소를 선택하는것은 '밖'이라는 의미를 다르게 사유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날 마침, 부산시립미술관에 좋은 기획의 전시가 있었습니다. 이 전시에 관한 리뷰는 Side-B의 가이님의 리뷰를 참고 해보시길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agitproject/# 에서 지난 안녕 없는 생활들, 모험들 그리고 내년

 

 

 

거의 이런 자세로 2시간 남짓 강독을 이어가는 것은 '불편함'을 감수하는 의지겠지요.

 

 

 

이건 뭔가 앞의 사진과는 다른 국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약간의 설정샷인 티가 나는군요

 

Side-B는 정해진것이 없이, 서로의 정동에 의해 계속 '다음'으로 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양한 방식의 후기는 정동과는 또 다른 국면일것입니다. 오늘 코뮨주의 선언중(진은영) 코뮨주의와 유머를 읽다가 감동받은 부분이 있어 그 글을 한부분을 손수 적으며 마무리하려 합니다.

 

"유머리스트는 번번히 실패한다. 그러나 아무도 실패해본적이 없는 새로운 방식으로만 실패한다

그는 피로감 없이 유쾌하고 즐거운 실패들을 이어간다. 실패나 성공과 무관하게 오직 자기 활동속에

존재하는 유머리스트의 고요하고 영원한 기쁨"

 

 

부산시립미술관 별점: ★★★

< 공부하는 장소마다 별점을 매겨보기로 했습니다. 총 별점의 이유를 세미나 하셨던 분들이 댓글로 달아주시면 더 좋을거 같군요! >

 

 

zz.jpg

 

 

출판강좌를 만나고 난 이후에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생각을 조금은 따르게 해보지 않았나 싶어요. 그러면서도 내가 어떠한 원고를 가지고 출판사에 찾아가 이런 글이 있으니 한 번 책을 내주지 않겠는가. 하고 말하는 것에 대한 한없이 높은 벽을 체감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만든 책의 제목은 ‘K’s Story‘입니다. K는 제 이름의 첫 글자를 딴 K입니다. 나름대로 저의 이야기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어린시절 일기장에 적혀있는 동시들을 보면서, 아 나는 어렸을 때도 이렇게 쓰는 것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구나 하고 스스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글을 잘 쓰고 못쓰고를 떠나서 그런 발견이 또 다른 의미로 다가와서 제게 하나의 힘이 되어 줬다는 사실이 어떠한 기록물로 남겨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과거에 제가 썼었던 동시를 책에 담고, 제가 감상한 인상에 대해서 설명해놓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제가 써놓은 짤막한 글과 힘들었던 때 적었던 시도 함께 실었습니다. 저는 우선 중앙 스템플러 제본을 하였습니다. 많은 분량도 아니었거니와 가운데 중철 된 모습이 제가 상상하는 책의 모습과 닮아 있어서 그렇게 했습니다. 사실 스템플러를 가장자리에 찍어놓는 제본은 제가 누군가에게 작성한 글을 보여줄 때, 그런 제본방식으로 보여주곤 했었습니다. 그때는 이게 책이라는 개념이 아니었는데, 여기와서 보니 책이라는 게 그렇게 거창하게만 만들어지는 게 아니구나 싶었습니다. 거창한 책의 모습이 아니더라도 내가 이렇게 만들어낸 제작물을 손에 쥘 수 있다는 점에서 참 매력적인 수업이었습니다.

책을 만들고 나서 내가 글을 쓰는 점에 있어서 좀 더 세심한 정성을 기울여야겠구나, 싶었습니다. 작은 책이지만 총 세 권의 책을 만들면서 이 책에 담길 이야기들에 대한 애착이 좀 커졌습니다. 그래서 아! 정말 더 잘 써야하는 구나 싶어서 그래서 조금 부끄럽기도 했네요.

이번 워크샵을 하면서 책의 제작이라는 것이 그리 어려운 것만은 아니라는 걸 배웠지만, 또 다른 면에서 책을 만들고 살아간다는 게 참 힘든 거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떠한 꿈을 같이 이뤄서 갈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린그림 관계자 분들을 보면서 괜히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그러면서도 아직 나는 좀 어리구나 하고 생각하며 또 우울해지기도 했지만요.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생각을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괜히 그런 모습을 좀 유심히 보는 편인데, 저랑 생각이 다르거나 다른 것을 좋아하더라도 그런 것에 대한 공유가 있으면 괜히 친해지고 싶어지더라구요. 이번에 실제본을 하기도하고 저처럼 중철을 하기도 하고 소창연에서 만든 책을 보기도하면서 이렇게 몇 사람 안 되는데도 생각이 다양하구나 하고 느낄 수 있는 기회여서 좋았습니다.

사실 이런 후기를 마감시한에 맞춰서 올렸어야 했는데, 왜 조금의 기억조차도 제 머릿속에서 떠오르지 않았을까요. 그러면서 교수님께 죄송하다고 말씀까지 드렸는데도 참 정신이 없었네요. 죄송합니다. 그때 만났었던 분들 참 잘해주셨는데 그만큼의 반도 저는 마무리를 잘 못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죄송하다는 말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어요. 에휴 마무리가 좋지 못하면 그 인상이 그리 좋지 않은데 말이죠. 저는 항상 이렇네요. 고쳐야 할텐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