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안녕을 묻는 방식의 발명을 위하여

 

 

신현아

 

 

1. 일과 영혼: 자기해방되었나요?

 

“저는 연구모임 아프꼼의 연구원입니다. 활동한 지는 4년쯤 되었습니다. 아프꼼에서 제가 하고 있는 것은 전반적인 일입니다. 아무거나 다 합니다.”

 

언젠가부터 내가 ‘아프꼼’으로서 나를 소개할 때 해왔던 말이다. 아무거나, 전반적인 일을 한다는 말은 한 편으로는 이제는 ‘짬 좀 찼다’는 것의 겸손이기도 하겠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오히려 내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에서 나온 자기방어이다. 부끄러움. 연구모임 아프꼼은 ‘일’로 자신을 소개하는 곳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가짐으로, 기쁨과 슬픔과 자부심과 몸 둘 바로 자신을 전해야 하는 곳인데, 나는 어째서 일로 자신을 소개하는가. 그래서 스스로에 대한 자신이 없었다.

 

 

그런 와중에 우리는 <배수아와 새벽의 극장>이라는 행사를 치루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노력을 기울여 만들어 낸 시간들. 그런데 정말 어처구니없게도 내가 이 행사에 대해 가장 먼저 기억하는 것은 영상 상영 초반에 합이 맞춰지지 않았던 것, 뒤풀이 테이블 세팅이 잘 되어 있지 않았던 것 등이다. 생각해보면 우습다. 이 행사에는 아프꼼이 언제 이런 격려를 받아보았을까 싶을만치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와서 축하해주었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서 목소리, 힘을, 마음을 보태주었고, 따뜻한 격려를 보내주었는데, 나는, 왜, 고작, 치킨이 미리 도착하지 않은 것에 노심초사하였던 것일까. 정작 가장 많이 마음을 썼던 사람도 좋은 행사였다고, 기뻤다고, 사소한 것에 마음쓰지 말자고 하는데, 나는 왜.

 

 

그러니 이런 마음이 ‘소진’의 한 단면이라고 할 것이다. 나는 이러한 나의 소진을 들키는 것이 부끄러웠다. 좋아서 하는 일이어야 하는데, 그래서 다른 사람도 북돋아야 하는데 소진되어 있다는 것이 다른 팀원들에게 미안했고 전해지지 않았으면 하였다. 게다가 나보다 힘들게 일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내가 감히 입 밖으로 내어 ‘소진’을 말하는 것은 ‘문제적’이고 ‘못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랬을 때 오히려 ‘일’은 하나의 좋은 알리바이가 된다. 나는 나 스스로에게도 내가 소진되었음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고, 영혼이 소진되었다는 것을 잊어버리고 싶었다. 그래서 더 ‘일’에 ‘실무’에 매진하였다. 다른 팀원들에게 힘든지를 묻기 전에 일정에 맞춰 진행되었는지를 물었고, 일이 끝나면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기보다도 집에 내려가서 잠을 잤다. 그때는 그것이 참 절실하였다. 사람들이 나에게 “무리하는 것 아니냐”고 걱정하면서 물으면 나는 오히려 의아했다. “일이 안되고 있나요? 잘 되고 있지요? 그럼 뭐가 문제인가요?”라고 말하면서. 이 말은 결국 “내 영혼에 대해 묻지 말아주세요. 나도 당신의 영혼을 묻지 않을 게요.” 라는 말에 다르지 않았으리라.

 

 

「이행과 자기해방의 결속체들」은 애씀과 그에 따른 소진에 대한 걱정이며, 또 한 편으로는 그 소진으로 인해 해방되지 못하는 것들에 대한 질문이다. 소진은 자기해방이 아닌 족쇄의 경험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자기해방되었느냐는 이 질문에 답하자면, 언젠가부터 나는 소진되었다. 이것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소진되면서부터 나는 자기 해방이라는 것을 애써 잊었다.

 

 

2. 소진과 성장통의 사이: 당신의 영혼은 안녕한가요?

 

물론 소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조심스럽다. 소진과 피로에 대해 말하는 순간 다른 사람에게 그 피로가 전염되어 버리지는 않을까하는 걱정도 들고 무엇보다도 오히려 ‘저 이만큼 힘들었어요’하는 투정으로 비춰지는 역효과가 나는 것이 걱정스럽다. 게다가 간단하게 소진이라고 하였지만, 실은 여전히 이것이 ‘소진’인지도 긴가민가하다. 한편으로 일에 매진하면서 어떤 부분에서는 진행자로서, 선배로서 성장한 면도 분명히 있고 일이 손에 익어가는 과정에서 느낀 성취감도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그저 ‘성장통’일 뿐인데, 내가 그것을 ‘소진’이라고 생각하여 내 팀을 믿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불안하다. (실은 나에게 가장 큰 불안은 지역적재생산구조에서의 소외보다도 이것이다. 피곤하고 흔들리는 내 마음이 ‘소진’인지, ‘성장통’인지, ‘부대낌’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인정하자고 하는 것에는, 결국 공동체의 건사는 이 ‘그 무엇’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가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라는 고민 때문이다.

 

 

성장통이라고 부르든, 소진이라고 부르든, 이것은 결국 공동체를 건사하는 사람이 마주하는 그 무엇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왜 소진되었나’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그 무엇을 말할 것인가’이다. 왜 소진되었나를 묻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어떤 공동체든 간에 일은 많고 사람은 없고 관계를 건사해야겠다 싶으면 근육부터 쑤신다. 그러다보면 신경질이 나고 남 탓부터 하기 십상이다. 그렇다면 ‘왜’가 아니라 ‘어떤’ 소진인가를 말하자면 그것도 조심스럽다. 자칫하면 ‘피로자랑대회’가 되거나, 덜 피로한 사람이 더 피로한 사람에게 어쩐지 미안해하게 되어서 결국 ‘일’을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가에 대한 것으로 귀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을 잘 나누는 것은 공동체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런 것에 조심을 기하다 보면, 말하는 자체가 조심스러워져서 결국 자신의 상태에 대해 말하지 못하고 입을 닫게 되는 상황도 생긴다. 또는 더 이상 영혼에 대해 말하기도 지친 사람에게 넌 왜 그렇게 축 쳐져 있냐고 닦달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니 우리에게 있어서 가장 필요한 발명은 서로의 영혼에 대해 잘 묻고 말하는 방법, 그리고 그 건사를 통하여 그 무엇을 다른 에너지로 바꾸는 순환에 대한 것이다.

 

 

3. ‘그 무엇’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문제는 혼자서 ‘그 무엇’에 대해 골몰하다 보면 ‘내가 잘 하고 있나? 못하고 있는 것 같은데? 사람들을 잘 못 챙기고 있는 것 같은데? 어쩌지? 아 몰라, 일이나 하자.’ 하는 식의 공회전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공회전을 깨어주는 것이 바로 다른 사람의 목소리이다. 나를 흔들어 잠에서 깨워주는 목소리. 그 목소리는 단지 ‘잘하고 있어’라는 말이 아니라, ‘나는 이러이러한 점이 이런데, 너는 어떠니?’라는 두드림이다. 나는 거기에 답해야 한다. ‘너의 이러이러한 점에 나는 이러이러하게 응하고 싶어.’라고 말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소진과 성장통은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증상을 어떻게 체감하는가의 문제가 된다. 혼자 공회전하다가 삼켜버렸을 때, 그것은 소진이 되고,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나누어서 다시 되짚어 보았을 때 그것은 성장통이 된다.

권명아님의 「이행과 자기해방의 결속체」는 공회전에 빠진 나에게 ‘자기해방을 잊지는 않았니?’ 라는 물음이 되었고, 차가영님의 「이방인의 자기해방」은 누군가의 뜨거움을 내가 미처 몰랐다는 미안함과 뜨거움을 어떻게 받아 안을지에 대한 요동이었다. 그리고 엄준석님의 글은 내가 뒤로 밀어놓았던 시간들이 얼마나 반짝이는 것이었는지 다시 되새기는, 기쁨을 다시 캐내는 전이가 되었다. 아, 그랬구나. 우리가 정말 멋진 일들을 하고 있었던 것이 맞았구나. 어떤 치하보다도, 칭찬보다도 ‘나는 뜨겁고 싶었어’, ‘나는 참 기뻤어’와 같은 말들이 다시 일깨우고, 소진을 성장통으로 바꾸어주는 것이다. 1년간 나는 진행자로서 성장하였고, 어느 날은 마법사였고, 거리의 악사였고, 신경질적으로 몰아치는 사람이기도 하였고, 널브러져 있기도 하였다. 그리고 누군가를 챙기지 못하였고, 뜨거움에 응하지 못하기도 하고, 또 어떤 날은 짬짬이 별 일 없냐고 안부를 묻기도 하였다. 그 전부가 이 시간이었다. 그리고 우리가 부대껴 온 시간에 비하자면 참으로 짧은 이 시간, 마음을 토로하고 써서 전하는 이 짧은 시간이 우리가 우리를 다시 만나는 공간이 되어, ‘부사적으로’ 그 긴 시간을 전혀 다른 시간으로 만들어 놓는다. 물론 이 마음의 파도가 그 간의 피로를 전부 씻은듯이 낫게 하지 못하고, 짧은 요동으로 그칠지도 모른다. 그러면 또 누군가가, 내가, 말해야만 한다. 우리 글을 써보지 않을래? 라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