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화 판자와 공

 

소설가  金 飛

 

 

 

 

 

 

 

 

 

인간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나며, 우리는 모두 그렇게 하나의 판자(板子:널빤지)를 부여받는다. 세상이나 사회가 만들어 놓은 경계에 순응하고, 자신의 안정감을 위해, 그것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또 다른 경계를 만들고, 누군가를, 혹은 무언가를 폐기시키면서 우리는 우리가 가진 판자의 크기를 더욱 크게 만들고 있다.

무조건 크고 넓은 판자라면, 나를 더욱 더 안정감 있게 지탱할 수 있을 것이라 믿으며 때로는 두 팔로 들 수 없을 정도의 거대한 크기로 그 판자를 넓혀간다. 그리고 금방이라도 자신을 깔아뭉갤 듯한 그 위태로운 판자를 아슬아슬하게 들고서도, 자신은 제일 안전하고 바람직한 최고의 삶을 살고 있으며 그럴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삶이란 애초부터 판자 위에 서는 것이 아니었다. 그건 차라리 동그란 원형의 공 위에 서는 일인지도 모른다. '공유'하도록 만들어진 우리들의 세상이란 어디로도 구를 수 있는 공의 세계이며, 인간이란 결코 혼자 설 수 없는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해야하는, 말 그대로 공처럼 유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만 살 수 있는 존재일 테니 말이다.

그 위에 선을 긋고 경계를 만드는 일이란 처음부터 인간의 어리석음이었을 뿐, 안정되고 평화로운 삶을 추구한다고 말하며 인간은 언제나 제일 어리석고 안타까운 길을 걸어왔던 건지도 모른다. 아무리 크고 넓은 판자를 들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들고 공처럼 둥근 삶 위에 서는 일이란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불안은, 삶이라는 공이 아니라 우리들 모두가 하나씩 들고 있는 거대한 크기의 판자였다. 삶이란 모든 가능성이고 그래서 그것은 공 같은 모양의 위태로움이겠지만, 최소한 그 위에 판자를 대고 올라서려는 무모한 불안감에 비할 수는 없을 것이다.

판자가 크면 클수록 흔들림은 더욱 심해지고 위태로움은 또한 그만큼 증폭된다. 보기 좋고 훌륭하며 제일 넓은 널빤지를 갖고 있는데도, 이상하게도 위태롭고 불안한 자아와 자주 맞닥뜨리고 마는 현대인들의 모습이, 그 동안 무수히 많은 경계를 그어 안정감을 도모해왔으면서도 제일 안 쪽의 경계에 서서 더욱 불안하고 쫓기는 삶을 살고 있는 안타까운 우리들의 현재인 것이다.

 

결국, 들고 있던 것을 내려놓아야할 일이다. 무겁게 양 손에 잔뜩 들고 있던 것들을 내려놓는 것이, 그 동안 자신을 억압하고 있던 불안을 덜어가는 그 첫걸음이다. 지금까지 자신을 단단하게 지켜왔다고 생각했던 생각의 경계를 조금씩 지워나가기 시작해야, 어딘가에 갇힌 것 같았던 스스로의 불안감이 조금씩 떨어져 나갈 것이다.

그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의 안정감을 지켜왔다고 믿었던 경계가 또 다시 '강박'의 힘을 작동시키겠지만, 우리가 두려워하고 있던 그 경계의 너머도 또한 원래 우리들의 것이었음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누군지도 모르는 타인의 잣대로 만들어진 세상의 경계 너머로 우리들 스스로가 폐기해버려 상실했던 것일 뿐, 결국 그건 처음부터 우리들에게 주어졌던, 우리들의 것이었다. 모든 미지의 것들이 가장 먼저 두려움으로 환기되듯이 그건 분명 위협적으로 느껴지겠지만, 그것은 분명 우리들의 삶을 지탱해야할 나머지 반쪽이었다. 어쩌면 인간은 우리들 스스로 버리고 폐기해버렸던 그것들 없이는 결코 안정적인 자아를 찾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상자 앞에 섰던 그 때의 나도, 어리석게도 그렇게 지탱할 수 없었던 세상의 판자 아래서 버둥거리며 상자 속의 밀폐된 삶만을 꿈꾸고 있었다. 역설적이게도 세상이 만들어놓은 경계의 억압을 피해, 가장 끔찍한 고립과 밀폐의 공간 속으로 나를 밀어 넣고 있었다. 그렇게 삶이 아닌 조그만 상자 속에서 시간의 종언을 준비하다가 나를 일깨운 것은 '해보고 죽으라', 어느 이방인의 아주 단순하고 과격한 말이었다.

그래, 어차피 똑같은 세상에 대한 종언이며 삶의 마지막일 테니, 상자 속에서 죽으나 경계 바깥에서 죽으나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내가 몸을 돌려 상자 바깥으로 첫 발을 내디디게 한 첫 번째 동력이었다. 그건 아마도 극도로 짓눌려 있었기에 가장 높이 튀어오를 수 있었던 '강박'의 반작용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나는 처음으로, 세상이, 모든 사람들이 '안정'되고 '옳다'고 말했던 경계 안 쪽이 아니라, 경계 바깥쪽으로 몸을 움직여 한 발 내딛게 되었다. 세상의 말대로라면 거긴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의 끔찍하고 잔혹한 세계여야 했는데, 이상하게도 경계 너머에 발을 내디딘 내게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경계 바깥으로 넘어오니 그 동안 나를 짓눌렀던 경계 안쪽의 무게가 스르르 어깨에서 미끄러져 내려갔다. 지금쯤 폐기된 것들의 끔찍한 철퇴와 불안이 내게 휘몰아쳐야하는데, 이상하게도 나는 경계 바깥에 서서 멀뚱멀뚱 주위를 둘러보고 있었다. 오히려 모든 것을 벗어버린 몸이 가벼워졌고, 경계 안쪽에 살며 경계를 넘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그들을 보고 있자니, 피식 웃음이 났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막막한 어둠뿐이었는데, 나는 그 속을 천천히 걷고 있었다. 아무것도 손에 든 것이 없었기에, 기대나 희망 따위는 오히려 내게 존재하지 않았기에 내 발걸음은 겁 없이 빨라지기 시작했다. 경계 안쪽에서는 한 번도 뛰지 못했던 질주였는데, 텅 빈 어둠 속에서 나는 마음껏 끝까지 달려갔다가 다시 또 질주하며 되돌아왔다.

온 몸에 열이 오르며 땀이 흘렀다. 생전 처음 느껴지는 심장의 두근거림을 나는 온 몸으로 체감하고 있었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어둠 속이니 나 혼자 내 길을 찾아가면서 느리고 어눌했지만, 한 발짝뿐인 걸음도, 누군가 타인이나 세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오롯이 나 자신의 것이었다. 욕심을 부리지 않고 내일도 딱 그만큼만 나아가리라 다짐하는 내 모습은, 모두가 '그래야한다'고 말했던 세상이 만든 경계 안 쪽에서는 한 번도 상상하지 못했던, 나의 미래를 내 손으로 그려가는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나 자신의 모습이었다.

거긴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미지의 세계였지만, 두근거리는 내 심장은 불안이 아니라 '설렘'이었다. 비로소 나 자신의 삶을 내 스스로 찾아가는, 어느 철학자가 말했던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자아의 첫 걸음이었던 것이다.

 

나는 내게 주어진 판자를 팽개쳤다. 아니, 나는 강압적인 세상의 경계로 인해 나의 판자를 빼앗겨 밀쳐지고 말았다. 나는 그것이 내 삶의 마지막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제 나를 안정되게 지탱해줄 것은 사라져버렸으니 나는 어디론가 까마득한 추락이나 몰락만을 기다려야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 덕분에 나는 맨 발로 공 위에 올라서고 있었다. 위태롭고 흔들리며 당장에 쓰러질 것 같았지만, 이상하게도 시간이 지나며 그 흔들림은 덜하고 불안은 조금씩 설렘이 되어갔다. 천천히 다리를 벌리고 발을 움직여 휘어진 면에 맞추어 두 발을 대고 서 있으니, 불안감이나 위태로움은 어느새 지워져버렸고 나는 조금씩 균형을 잡는 법을 배우기 시작했다. 세상이 만든 판자가 아니라, 삶이라는 둥근 공 위에 맨 몸으로 서서 나는 그렇게 조금씩 균형을 잡는 일에 익숙해지고 있었다.

잔뜩 웅크린 모습이 아니라 두 팔을 활짝 벌리면 안정감이 더해졌고, 제 자리에서만 발을 통통 구르는 것이 아니라 더 넓게 벌리면 벌릴수록, 다리를 더 동그랗게 만들면 만들수록 나는 흔들리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손끝에 누군가의 손이 맞닿게 되면, 어디선가 나처럼 판자를 버리고 공 위에서 균형을 잡는 누군가의 흔들리는 손을 만지게 되면, 아슬아슬하게 공 위에 선 내 몸은 자연스레 그 쪽으로 의지하게 되었고, 그렇게 그들과 손을 잡으면서 내게 존재하던 불안이나 위태로움은 더욱 더 말끔하게 지워져갔다.

손을 잡은 그들은 내가 모르던 공 위에 서는 법을 나에게 가르쳐주었고, 그의 손을 잡은 또 다른 누군가는 공 위에서 자기만의 묘기를 부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서로가 서로의 손을 잡고, 서로의 불안과 위태로움을 바라보아주면서, 어느새 나는 공 위에서 흔들리며 삶을 꿈꾸고 있었다. 여전히 위태롭고 불안했지만, 그건 세상의 경계 안쪽에서는 한 번도 느껴보지 못했던 설렘이었으며, 내 생애 처음으로 발견한, 미래라는 걸 꿈꾸고 있는 나 자신이었다.

 

흔들린다는 건 불안이나 위태로움이 아니라,

그건 가능성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