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화 상자 인간

 

소설가  金 飛

 

 

 

 

 

  독일의 철학자 에리히 프롬은 나치의 득세를 기술하고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인간이 외부의 권위에 의존하게 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자아의 힘이 약해질수록 인간은 초자아나 외부의 권위에 의존하게 된다는 그의 이야기는 경계와 불안을 떠올리고 있던 내게도 어떤 깨달음을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앞에서 나는 경계를 긋는 행위를 통해 인간의 상실과 불안은 필연적이라고 했는데, 실제로 인간에게 불안이 쌓여간다는 의미는 그만큼 자아의 힘이 약화된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렇기에, 그것은 또 다시 인간이 그러한 자신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의 권위와 권력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한 인간에게 안정감과 위안을 주는 가장 거대한 외부의 권력이란 경계를 만들었던 '보이지 않는 손'이며, 또 다시 계속된 불안을 견디지 못하는 인간은 그러한 보이지 않는 손을 모방하여, 스스로 또 다른 경계를 그어가며 불안을 지우려고 애쓰는 것인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경계를 긋는 행위는 상실이며 불안이고, 그것이 또 다시 스스로의 불안을 지우려는 일환으로 다른 경계를 긋게 만드는 근거가 되어, 불안에 내던져지고 다시 경계를 긋는 행위를 지속하는 어리석은 악순환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그런 유사한 예는 우리들의 주변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흔히 뉴스에서 보게 되는 정치가들의 이합집산이나, 한 사람의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자신과 타인의 경계를 그어 스스로를 안전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이나, 생각이나 사상이 같은 사람들의 무리 속에 자신을 두어 경계 안의 안정감을 꾀하려는 일은 모두, 외부의 경계든 스스로가 만든 경계이든 불안을 지우려고 다시 경계긋기에 매달리는 어리석은 인간의 모습이다.

직장에서는 상사나 경영자의 권력에 다가가기 위해 또 다른 경계를 그으며 다른 경계 안으로 편입되거나, 학교에서는 힘 센 아이의 권력에, 혹은 교사라는 권력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하여, 혹은 그들의 눈에 벗어나는 불안을 겪지 않기 위하여 다시 또 어떤 경계를 그어 자신을 그 안쪽에 놓으려고 한다

처음부터 인간이나, 인간이 만든 세상에는 '경계 긋기'에 대한 자격이나 권위가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인간은 갖가지 방식으로 경계를 나누고, 다시 또 다른 경계를 나눔으로써 스스로의 불안을 지우고 안정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보면 이것은 어떤 사상이나 특정 종교의 이름으로 성소수자들을 억압하고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부 사람들의 모습과 정확하게 일치하는데, 처음부터 그들에게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이름의 성소수자들을 단죄하거나 억압할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내미는 근거란 결국 우리들도 알지 못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만든 경계 임에도 불구하고, 공공연히 그것이 신의 뜻이라는 둥 인간의 섭리라는 둥 처음부터 가능하지 않은 근거들을 들어 자신들의 폭력적인 행위들을 합리화하고, 자신들의 불안을 지우며 알량한 안정감을 얻기 위해 외부의 권위에 기대어 또 다른 경계를 긋는 행위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경계로 인한 불안을 지우려는 인간의 몸부림은 경계긋기라는 적극적인 행위만이 전부는 아니다. , 외부의 권위에 의존해 또 다시 경계를 만듦으로써 그 안에서 안정감을 도모하려는 것이 아니라, 아예 처음부터 세상이 만든 혹은 자신이 만든 경계와는 상관없이, 경계가 아닌 작은 상자 안에 갇혀버리게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자 속에 있는 인간은 자신은 물론이고 외부의 세계와는 전혀 아무런 소통도 하지 않으며, 눈을 닫고 귀를 막은 모양새다. 어떤 이야기를 해도 그는 대답하지 않으며, 어떤 것을 보여주어도 그는 고개를 끄덕이거나 부인하는 몸짓조차 보여주지 않는다. 그에게 탄생은 그저 탄생이며, 인간은 그저 인간이고 세상은 그저 세상이다. 바람이 불면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몸을 굴리고, 어디론가 떨어져내리면 작은 상자 안에서 잔뜩 몸을 웅크리면 그 뿐 자신을 밀어낸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조차하지 않는다. 작은 상자 안에 세계가 자신의 세계이며, 그 속에서 살다가 죽는 것이 스스로가 원하고 바라는 유일한 삶인 것이다.

얼핏 느끼기에 그것은 굉장히 자족적이고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지만, 소통을 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그건 굉장한 위험성을 수반한다. 상자 속에서 그는 자기 자신의 기준으로 수십 개의 경계를 그리고 목록을 만들지만 그건 낙서에 지나지 않는다. 그가 만든 경계 속에는 아무도 없으며, 그가 만든 목록은 그저 글자의 배설일 뿐 무언가를 기록하거나 남기는 의미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좁고 답답하지만 무엇보다 안전한 자기 세계 안에 있으니 그보다 더한 안정감은 없을 듯하지만, 불행하게도 그가 들어앉은 상자는 마음껏 몸을 펴고 움직일 수 있는 거대한 상자가 아니라, 기껏해야 밥솥 하나가 겨우 들어가는 작은 상자에 불과하다. 몸을 구부려 억지로 끼워 넣었을 , 그는 스스로 자초한 왜곡된 육체와 정신의 세계 속에서 불안보다 훨씬 더 고통스러운, 몸으로 체현하는 불편에 시달리며 평생의 삶을 살아야하는 것이다.

심리학적으로 그것을 무어라고 지칭하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실제로 물질문명의 발달로 점점 소통의 방식이 변하고, 왜곡되며, 어딘가에 고립되거나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다. 아무도 그 조그맣고 답답한 곳에 사람이 들어가 살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않지만, 그에게는 그 곳이 바로 자신의 세계이며 자신의 삶인 것이다.

안타깝게도 그렇게 상자에 갇힌 인간의 모습은 외부의 권위에라도 의지해서 자신들의 안정을 꾀하는 부류들보다 더 불안하고 위태로워 보인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들 속에서 그러한 부류의 사람들이 더욱 많이 발견되고 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개인적으로 성전환자라는 이름을 가진, 사회의 가장 변방으로 밀려난 우리들의 안에서 그렇게 상자에 갇힌 모습들을 목격하게 될 때, 나의 마음은 안타까움을 넘어 참혹함이 느껴진다. 자신들의 알량한 생존만을 위해 무수히도 많은 경계를 긋고 많은 것들을 소외시켜버린 폭력적이고 비겁한 세상의 지붕 아래에서, 그들은 상자 속에 갇혀 결국 인간으로 태어난 즐거움을, 남자든 여자든 하나의 인간으로 살 수 있는, 그들에게도 주어진 참으로 고귀하고 아름다운 축복을 외면하고 포기하며 살다가 끝내 쓸쓸하고 외로운 상자 하나의 죽음을 맞이하는 모습을 마주하게 되면, 참혹한 자괴감에 몸서리가 쳐지는 것이 사실이다.

 

경계는 상실이며 불안이지만, 상자 속의 삶에 비할 수 있는 위태로움일 수는 없다. 경계 안에 있는 사람도 불안한 사람이지만, 상자 속에 갇힌 사람들은 불안함을 넘어 위태로운 사람들이다. 그리고 누군가의 절박한 위태로움을 외면한 채, 내가 폐기해버린, 나의 경계로 만들어진 어떤 상실 된 것들을 소외시킨 채, 좁고 편협하고 이기적인 안정을 꾀하며 사는 일이, 부인할 수 없는 이천 년대의 바로 우리들 자신의 모습이다.

 

경계를 긋거나, 상자에 갇혀있거나, 불행하게도 우리 모두는 불안을 지우기 위해 발버둥치는 나약하고 안쓰러운 모습이거나, 누군가를 잔혹하게 상자 안에 밀어 넣고 있는 폭력적인 얼굴을 하고 있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