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애’ 시대, 소년·소녀담

 

 

 

 

권명아

 

 

 

 

 

   2012년 한국 사회는 ‘영애’가 성장해서 ‘여왕’이 되는 정치 드라마에 열광했다(51.6%). 이 특별한 ‘성장 드라마’ 시대에 다종다양한 소년·소녀담이 이어졌다. <겨울왕국>(1029만), 엘사와 ‘영애’가 닮은꼴이라는 보도가 이어졌다. <소년이 온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36만), ‘엄마’가 지배하는 제왕적 가부장 사회의 소년·소녀담 <차이나타운>(147만), <응답하라 1988>(21.7%), <시그널>(12.54%), 영화 <귀향>(314만) 등이다.

 

 

   이 소년·소녀담은 세 유형으로 나뉜다. 1 유형, ‘영애’가 ‘여왕’이 되는 ‘특별한’ 성장 서사. 2 유형, 천진난만한 소년·소녀가 ‘어엿한’ 어른이 되는 성장 서사로, <응답하라 1988>이 대표적이다. ‘복권’, ‘재개발’, ‘주식투자’로 상징되는 경제적 성장 서사를 동반하고, 과거는 비루한 현재를 밝히는 그리움의 원천이다. ‘엄마’가 살해한 소년을 대신해 ‘엄마’를 죽이고, 그렇게 ‘엄마’가 되는 <차이나타운>도 2번 유형이다. 두 작품은 이질적으로 보이지만, 실상 부친/모친 살해는 성장 서사의 무의식이다. 아비/왕이 어미/여왕으로 대체되었다. 3 유형은 <소년이 온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시그널>, <눈길>, <귀향>, <로봇, 소리> 등으로 이어지는 ‘유령’의 계열이다. 이 서사는 유령으로 귀환하는 소년·소녀의 이야기이다. 유령 계열은 아비/어미 부정이나 복수의 서사와는 다르다. 각 작품의 관객 동원은 앞의 두 계열보다 저조하지만, 종류가 다양하고 이 계열 전체를 합하면 앞서 두 계열의 관객 동원과 거의 맞먹는다.

 

 

   1 유형은 ‘아버지/왕’의 환영을 매번 소환하면서, 가부장/왕을 불러들인다. 2 유형은 아이가 어른이 되는 성장이 시민/법적 주체 구성의 서사가 되는 근대 ‘가부장/법’의 서사를 벗어나지 않는다. 반면, 3 유형에서 ‘억울하게 죽어’ 유령으로 반복해서 귀환하는 소년·소녀는 어른으로 성장하지 않고, 아비/어미라는 시민/법적 주체가 되지 않는다. 소년·소녀담을 뭉뚱그려 ‘가부장적’ 서사 계열로 보는 시각은 그래서 게으른 비평적 관성이다. 3 유형은 1, 2 유형의 성장 서사적 전형성과 시간성을 어그러뜨린다. 1938, 1980, 2003, 2014, 2016의 시간이 연대기적 시간을 깨고 출몰하는 소년·소녀 유령들에 의해 한꺼번에 우리 앞에 도착한다. 성장 서사를 중단시키고, 연대기적 시간을 깨면서 소년·소녀가 유령들로 우리 앞에 출몰하고 있다.

 

 

   과거 언젠가 소년·소녀는 억울하게 ‘미래’를 빼앗겼다. 빼앗긴 미래에 사로잡힌 과거의 ‘몸’이 유령들로 도착한다, 매번. 소년·소녀 유령은 현재에 도착한, 과거인 미래이다. 아이-어른, 과거-현재의 성장 서사는 중단되고, 아비/어미가 되지 않는 소년·소녀 유령은 시민/법의 시간을 두서없게 만든다. 대신 과거에 중단되고 잠재된 미래를 현재로 불러들인다. 이 유령들이 걸친 과거의 ‘의장’은 민족지적, 생애사적 ‘과거’의 반영이 아니다.

 

 

   1, 2 유형의 성장 서사가 관객 동원 1, 2위를 다투는 동안, 이 성장 서사를 중단시키고 어깃장을 놓는, 과거형의 미래가 유령으로 여기, 도착한다. 개별 작품의 관객 동원은 미미했으나, 이들은 하나의 ‘작품’이 아니라, 여럿의 흐름으로 작동한다. 문화적 재현에서 발생한 일이 정치적 대표성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다. 그러나 새로운 흐름은 이미 도착했고, 성장의 시간/서사에 어깃장을 놓고 있다. 미래는 그렇게 과거의 의장을 입고 매번, 도착한다.

 

 

+ Recent posts